꿈을 AI에게 설명했더니 그림이 나왔다
: 말에서 이미지까지 리얼 실험기
말로 풀어낸 꿈이 진짜 그림이 될까?
저는 전날 밤에 꾼 꿈을 아침에 즉시 메모하고, 그 메모를 AI에게 설명해 이미지로 만들어봤습니다. “푸른 바다 위를 나는 도시, 종이비행기들이 불빛을 품고 회전한다” 같은 문장을 어떻게 해석할지 궁금했죠. 결과는 생각보다 다채로웠고, 언어의 순서·세부 묘사·금지 요소가 품질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번 글에는 제가 실제로 쓴 프롬프트 구조, 실패와 개선 과정, 그리고 꿈 이미지를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법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스크롤 압박 없이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차근차근 소개합니다.
목차
- 꿈→이미지 자동화 워크플로
- 제목·설명·태그 메타 전략 비교
- 실전 프롬프트 & 작성 팁
- 활용 전략(저작·연재·브랜딩)
- A/B 테스트: 서술 순서·세부 묘사
- 실전 꿀팁(체크리스트 포함)
1. 꿈→이미지 자동화 워크플로
전체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즉시 기록: 기상 직후 꿈을 5줄 요약(장소·인물·행동·감정·색감)
② 정리: 핵심 장면 1~2개만 추려 불필요한 수식어 제거
③ 프롬프트 초안
: 장면(what) → 구도·거리(how far/angle) → 조명·색감(light/color) → 스타일(style/reference) → 금지요소(negative) 순
④ 배치 생성: 8~12장 한 번에 출력
⑤ 셀렉션: 기준표로 상위 3장 선별(주제 일치·감정 일관성·노이즈)
⑥ 리비전: 부족한 요소만 추가 서술해 2차 생성
⑦ 업스케일 및 가장자리 아티팩트 보정
⑧ 출판: 캡션·ALT 작성 후 아카이브에 저장.
중요한 포인트는 “감정”과 “주제”를 먼저 못 박고, 세부 스타일은 후순위로 옮기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AI가 핵심을 놓치지 않습니다.
2. 제목·설명·태그 메타 전략 비교
몽환적 주제는 클릭만 높고 체류가 낮아지기 쉬워서 메타 구성에 신경을 더 씁니다.
제목은 결과 공개 + 핵심 오브젝트, 설명은 과정 명시, 태그는 감정·오브젝트·도구를 섞는 전략이 안정적이었습니다.
항목 | 예시 | 특징 | 활용 포인트 |
---|---|---|---|
제목 | 꿈을 AI에게 설명했더니 그림이 나왔다 | 결과 공개·호기심 유발 | 핵심 오브젝트 1개 포함(예: 종이비행기) |
설명 | 5줄 요약→배치 생성→리비전·업스케일 | 과정·재현성 강조 | 핵심 단계 3~4개만 명시 |
태그 | dream, prompt, surreal, paper plane | 감정+오브젝트+도구 | 국영문 병기, 과다 사용 금지 |
3. 실전 프롬프트 & 작성 팁
- 기본 구조: what → where/angle → light/color → style → negative 순으로 쓰기
- 예시: “floating paper planes above a luminous ocean city, wide angle from rooftop, moonlit haze, teal & gold palette, cinematic, negative: blur, artifacts, extra objects”
- 감정 라벨 추가: “feeling: calm awe, quiet hope” 같은 요약 단어 2개
- 네거티브는 기본 세트로 저장: “blur, noise, extra limbs, text, watermark”
- 배치 생성은 최소 8장, 첫 셀렉션은 썸네일로 판단하지 말고 100%로 확인
4. 활용 전략(저작·연재·브랜딩)
꿈 이미지는 일기보다 감정의 스냅숏에 가깝습니다. 연재용 포맷을 정하면 브랜드 자산이 됩니다.
① 매주 1회 “Dream Log” 고정 요일
② 썸네일 톤(폰트·색) 통일
③ 캡션 형식(한 줄 줄거리 + 감정 2 단어) 표준화
④ 시리즈 페이지에서 일괄 탐색 가능하게 내부 링크 묶음 구성
⑤ 외부 협업 시 크레디트/라이선스 명확화.
또한 텍스트·오디오와 결합해 쇼츠/릴스로 15초 영상화를 하면 반응이 높았습니다.
배경음은 저작권 안전한 소스 사용을 권장합니다.
5. A/B 테스트: 서술 순서·세부 묘사
서술 순서(A: 주제→구도→빛→스타일 vs B: 스타일→빛→주제→구도)와 세부 묘사 수준(간결 vs 과잉)을 교차 테스트했습니다. 주제를 먼저 못 박은 A가 일관성에서 유리했고, 세부는 간결이 과잉보다 아티팩트가 적었습니다.
아래는 24 샘플 기준 요약입니다.
조건 | 주제 일치 | 아티팩트 발생 | 선호도 |
---|---|---|---|
A-간결 | 8.7/10 | ↓ | 62% |
A-과잉 | 7.9/10 | ↑ | 21% |
B-간결 | 7.4/10 | → | 11% |
B-과잉 | 6.8/10 | ↑↑ | 6% |
6. 실전 꿀팁(체크리스트 포함)
- 기상 직후 5분 안에 5줄 요약(장소/인물/행동/감정/색)을 기록한다.
- 주제와 감정을 문장 첫머리에 고정하고, 스타일은 끝으로 미룬다.
- 네거티브 세트(blur, noise, text, watermark, extra limbs)를 상수처럼 넣는다.
- 첫 배치는 8~12장 생성, 썸네일이 아닌 100% 확대에서 선별한다.
- 불필요한 요소는 “제거 지시”로 수정 후 2차 리비전한다.
- 업스케일 뒤 가장자리·글자 유사 노이즈를 수동 클린업한다.
FAQ
Q1. 해시태그 몇 개가 적당한가요?
A1. 3–5개 권장, 과다 시 무시될 수 있음.
Q2. 꿈을 잊어버리기 쉬운데 어떻게 기록하죠?
A2. 침대 옆 메모/녹음 앱으로 5줄 포맷을 템플릿 화하세요. 알람 해제 후 5분이 골든타임입니다.
Q3. 현실 감각이 흐려진 이미지가 나오면?
A3. 구체적 오브젝트 1개(예: 종이비행기)를 앞에 두고, 배경·조명은 간결하게 조절해 보세요.
Q4. 저작권은 어떻게 관리하나요?
A4. 인물 사진·상표·텍스트 포함을 피하고, 플랫폼별 가이드를 확인한 뒤 배포하세요.
Q5. 어떤 스타일이 반응이 좋나요?
A5. 모바일에선 선명한 색 대비와 간결한 구도가 유리합니다. 과잉 디테일은 축소 시 무너질 수 있습니다.
Q6. 영상화하려면 어떻게 하나요?
A6. 3장 시퀀스(인트로/메인/아웃로)와 15초 내 보이스오버 스크립트를 준비하면 릴스/쇼츠에 적합합니다.
말로만 존재하던 꿈이 이미지로 남으니, 잊히던 감정의 결이 또렷해졌습니다. 완벽하게 같지는 않지만, “그때의 느낌”을 붙잡아 두기에는 충분했죠. 내일 아침에도 5줄로 시작해 보려 합니다. 여러분의 꿈은 어떤 색이었나요? 오늘의 프롬프트와 체크리스트를 그대로 복사해 쓰고, 결과를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서로의 꿈이 다음 장면의 영감이 될지도 모릅니다.